청라닷컴

TOP

인천소식 Incheon

      커뮤니티      인천소식

제목 "청라구 절대 반대"..주민 300여 명, 서구청 앞 대규모 집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작성자 청라닷컴 댓글 0건 조회 166회 작성일25-03-08 12:32

본문

"청라구 절대 반대"..주민 300여 명, 서구청 앞 대규모 집회

 

2025.03.08 [포커스인천] 노형돈기자

 

"청라 브랜드 강탈 즉각 중단하라"…주민비대위, 명칭 변경 절차 전면 중단 촉구

 

001.jpg

 

인천 서구의 구 명칭 변경을 둘러싼 논란이 격렬해지는 가운데, 청라구명칭사용반대 주민비상대책위원회가 7일 서구청 앞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고 명칭 변경 절차의 전면 중단을 요구했다. 이날 집회에는 300여 명의 주민들이 모여 '청라구 절대 반대'를 외치며 강하게 반발했다. 주민들은 "서구가 청라국제도시의 브랜드를 강탈하려 한다"며 명칭 변경 과정의 절차적 문제와 행정 편의주의를 강력히 비판했다.

 

"청라라 주요 현안은 방치하면서… 명칭까지 빼앗겠다는 건가"

 

발언대에 선 이지선 청라시민연합 문화체육국장과 자영업자 대표 이 모 씨는 "청라의 주요 현안들이 방치된 상태인데, 서구 명칭마저 청라동으로 바뀌면 주민뿐만 아니라 수많은 자영업자들과 소상공인들이 피눈물을 흘리게 될 것"이라고 호소했다. 주민비상대책위원회 공동대표를 맡은 조은혜 청라맘스 대표도 "12만 청라국제도시 주민들이 10년 넘게 애써 만든 도시 브랜드를 서구가 공공재라는 명목으로 빼앗으려 하고 있다"며 "이는 모두가 망하는 길"이라고 비판했다.

 

주민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발표한 성명서를 통해 서구청의 명칭 변경 과정이 처음부터 불공정하고 원칙 없는 절차였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주민 공모 결과 1위를 차지한 정서진구와 3위를 기록한 아라구가 명확한 기준 없이 탈락한 반면, 공모에서 유의미한 표를 받지 못한 경명구가 포함됐다"며 "공모 과정부터 특정 명칭을 밀어붙이기 위한 조작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정서진구의 경우 서구가 직접 '정서진 피크닉 클래식', '정서진 해넘이 축제' 등으로 홍보해온 명칭이었고, 정서진의 표지석을 포함해 모든 정서진 관련 인프라가 아라뱃길 남측 서구 관내에 포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공모 후 돌연 '정서진이 검단구에 포함된다'는 이유로 배제했다"며 "이는 서구 스스로가 정서진의 정체성을 부정하는 모순적인 행정"이라고 비판했다.

 

"불공정한 '깜깜이식' 선정 과정, 청라구 후보지 포함에도 청라 지역 주민 의견 수렴 없었다"

 

비대위는 청라구 명칭 선정 과정에서도 주민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청라는 다른 일반 행정동과 다르게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관리하는 국제도시로, 서구는 청라 지역의 주요 도로나 하천 정비조차 맡지 않고 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라구라는 명칭을 강행하려는 것은 서구의 기여도와 무관하게 브랜드를 강탈하려는 행태"라고 규탄했다. 또한 "명칭 변경 과정에서 공청회나 설명회 등 공개적인 여론 수렴 절차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며 "이런 상태에서 특정 지역 주민들의 반대가 명백히 예상되는 '청라구'를 강행하는 것은 명백한 행정 독선"이라고 강조했다.

 

비대위는 "서구가 개발하지도 않은 청라를 두고 '전국적인 인지도', '경제 중심지 브랜드 강화', '국제적인 세련된 이미지'라는 이유를 내세워 구 명칭으로 사용하려 한다"며 "그러나 이 모든 것은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LH, 그리고 무엇보다 청라 주민들이 만든 것이지, 서구청이 제공한 것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청라는 불과 10여 년 전까지 미분양의 무덤이었지만, 주민들이 힘을 모아 '청라국제도시'라는 브랜드를 만들어냈다"며 "이제 와서 서구가 이를 빼앗아 서구 전체 명칭으로 쓰려는 것은 명백한 브랜드 강탈 행위"라고 주장했다.

 

002.jpg

 

 

"12만 청라 주민들, 절대 좌시하지 않을 것"

 

비대위는 "청라 주민들은 이미 수천 건의 반대 민원을 제출했고, 청라구에 대한 찬반 의견을 묻는 별도의 주민 공청회를 요구했지만, 서구는 행정 편의주의적 논리를 내세우며 이를 무시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서구가 7월까지 구 명칭을 확정해야 인천시 예산 지원을 받을 수 있다며 밀어붙이고 있지만, 구 명칭은 졸속 행정이 아니라 주민이 공감하고 희망하는 방향으로 정해져야 한다"며 "지금처럼 특정 명칭을 강행한다면 이는 100년 동안 지속될 갈등과 반목의 씨앗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