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인천시 '평화경제특구' 섬 차별화 전략 수립 건의
페이지 정보
작성자작성자 청라닷컴 댓글 0건 조회 34회 작성일25-04-24 20:00본문
인천시 '평화경제특구' 섬 차별화 전략 수립 건의
2025.04.24 [인천일보] 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
서부권 강화·옹진 특성 강조 교통망 개선·규제 완화 요구도 “타 지역과 개발 여건 차이” 이유 통일부 기본계획 연말 확정 예정 |
인천 강화·옹진 등 접경지역을 남북 경제 협력 거점으로 만드는 '평화경제특별구역' 계획 수립 과정에서 인천시가 섬 권역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 전략을 건의했다. 통일부 구상대로 첨단산업단지 조성이 실현되려면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시는 최근 통일부 남북관계관리단 주재로 열린 '제1차 평화경제특구 지자체협의회'에서 강화·옹진 등 섬 지역 차별화 방안을 건의했다고 24일 밝혔다.
통일부는 인천·경기·강원 등 접경지역 지자체가 참여한 이번 협의회에서 올 10월까지 진행되는 '평화경제특구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방향을 설명했다. 기본계획에는 남북 경협 전략과 투자 유치 방안, 입주 기업 지원책 등이 담긴다. 평화경제특구는 남북 경제 공동체 실현을 목표로 강화군·옹진군을 비롯해 북한 인접 지역 15개 시·군에서 운영된다. 통일부는 지난 10일 발표한 평화경제특구 구상을 통해 3개 권역별 발전 방향도 내놨다. 시는 서부권으로 묶인 강화·옹진 지역 특성을 강조하고 있다.
경기 고양·김포·파주까지 속한 서부권은 혁신 제조업과 신산업 분야 첨단산단으로 구상되고 있는데, 섬 지역은 차별화한 계획이 세워져야 한다는 논리다. 평화경제특구 대상지 전체로 보더라도 섬이 포함된 권역은 서부권이 유일하다. 기업 유치를 이끌어내려면 도로 교통망 개선과 규제 완화가 뒷받침돼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시 관계자는 “같은 서부권에 포함된 다른 시·군과 섬 지역은 개발 여건에서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지자체 협의와 연구용역을 거쳐 평화경제특구 기본 계획은 연말에 확정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평화경제특구가 현실화하면 수도권 규제에서 벗어나 접경지역 발전 동력을 이끌어낼 수 있다”며 “정부 전략에 발맞춰 인천이 지닌 강점을 부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목록